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동통신 기술 3G, 4G, 5G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by 최강통신 2023. 1. 29.

이동통신 기술인 3G, 4G, 5G가 어떻게 발전해오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동통신은 1G 아날로그 방식부터 시작하였으며, 음성과 문자를 사용하는 2G, 2G에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더해진 3G, 여기에 데이터를 이용하는 4G, 그리고 앞으로 가상현실과 사물인터넷등이 도입될 5G까지 혁신적으로 발전해가고 있습니다.

이동통신 기술: 3G

국내에 3G 서비스가 처음 보급된 것은 2002년부터이며, 음성통화와 문자에 영상통화와 인터넷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통신까지 합쳐진 통신규격을 말합니다. 이때 적용된 기술은 WCDMA와 EV-DO Rev.0이며 이때부터 영상통화와 자동로밍 서비스를 일반적으로 지원했습니다. 또한, 유심칩을 이용하여 기기 교체가 가능해졌고 빠른 속도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이 기술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번호를 무조건 010 전용 국번으로 변경해야 하는 정책으로 인해 2013년 하반기에는 95%의 가입자들이 010 번호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스마트폰의 등장 전까지는 3G라는 용어나 개념을 보통 사람들은 거의 사용하지 않았고, 스마트폰 보급 후 "3G"라는 용어가 일반화되기 시작했습니다. 현재는 세계적으로 3G 서비스가 중단되는 추세이고 대만은 2018년에, 미국의 메이저 4대 통신사 모두는 2022년 내 중단함으로 미국에서는 더 이상 3G를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그 외 다양한 국가의 일부 통신사들이 서비스를 종료했으며, 국내에서는 LG U+가 2022년 초에 2G 종료 및 3G와 4G 일부 기능을 종료했으나 나머지는 아직 계획이 없습니다.

이동통신 기술: 4G

3세대 이동통신 IMT2000의 뒤를 잇는 차세대 이동통신 규격으로 HSPA+, Wibro, LTE 등의 기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중 가장 대표 격으로 알려져 있는 LTE는 2011년 선보였으며 Long Term Evoulution (장기간에 걸쳐 시스템을 발전시킨 기술)이란 의미를 뜻합니다. 기존 무선통신규격 중 와이파이(Wi-Fi) 다음으로 빠른 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증가하며 데이터 전송량이 급격히 늘어났는데 3G와 비교하여 이동 중 서비스는 50배, 정지 중은 10배 이상 빠른 속도를 자랑합니다.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화상, 무선랜 접속, 끊김 없는 인터넷 이동 서비스, 음성 메일 등이 가능합니다. 빠른 통신 속도를 통해 동영상 전송, 인터넷 방송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해졌고 대용량 데이터도 송수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15년에 기존 LTE 망보다 3배 더 빠른 서비스를 지원하는 광대역 LTE-A가 등장하였으며 이로 인해 유튜브, 넷플릭스 등과 같은 데이터 관련 산업 분야가 더욱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알뜰폰 업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도 바로 이 LTE 요금제입니다.

이동통신 기술: 5G

차세대 이동통신으로 기대가 되는 5G의 정식 명칭은 'IMT-2020'으로 최대 다운로드 속도는 20 Gbps, 최저 다운로드 속도는 100 Mbps인 이동통신 기술입니다. 대한민국이 세계 최초로 선보인 기술로써 평창동계올림픽 때 5G 기술을 적용한 시범서비스를 선보여 화제를 모았으며, 2018년 12월에 5G 전파를 송출하면서 제한적인 5G 상용화를 이뤄냈습니다. 5G의 특징은 초연결, 저지연, 초고속으로 이를 토대로 휴대폰의 영역을 넘어 모든 전자 기기를 연결하는 기술이 되리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도래할 4차 산업 혁명의 핵심기술로, 가상현실 (VR), 증강 현실 (AR),  실시간 원격 게임, 로봇 수술 등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홀로그램 영상 전송, 네트워크 로봇, 사물 인터넷(IoT), 자율 주행 자동차, 인공지능 등과 같은 서비스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스마트폰의 대중화 이후 앱을 통한 신산업이 탄생했듯 5G 기술도 나라 경제를 발전시킬 블루오션으로 여겨지며 이를 위해 여러 나라에서 국가적인 차원의 적극적인 투자가 예상됩니다. 다만 취약한 보안, 대역폭 혼간섭, 기기 발열, 비싼 요금제 등과 같은 단점들이 있어 개선이 요구됩니다.